본문 바로가기
생활꿀팁

소득금액증명원 발급 방법(정부24)

by 리치 꿀빨러 2023. 8. 31.

나의 소득을 증빙해야 하는 일은 꽤나 많이 발생하는데요. 대출, 청약 등 기준에 부합하는지 확인은 필수입니다. 그럼 소득금액증명원 발급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아봐야겠습니다. 

📢 소득금액증명원이 무엇인가요?

소득금액증명원이란 개인 또는 법인의 경제적 이익을 상세히 기록함으로써, 종합소득세 확정신고 또는 연말 정산한 납세자의 소득금액을 확인해볼 수 있는 문서입니다. 

근로소득만 있으신 경우 매년 5월 1일 이후 부터 전년도 소득금액증명원 발급을 하실 수 있습니다. 

 소득금액증명원발급소득금액증명원발급소득금액증명원발급

📢 소득금액증명원 발급 방법 (정부24)

소득금액증명원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모두 발급이 가능하며 모두 무료입니다. 

온라인의 경우 정부24, 홈택스에서 발급이 가능하며 오프라인은 무인발급기, 동사무소, 세무서 등 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온라인 발급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정부24 소득금액증명원 발급 방법

 1) 정부24 사이트로 들어가주신 후 검색창에 소득금액증명발급을 검색하신 후 서비스 바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소득금액증명원발급

 2) 서비스 바로가기를 눌러주시면 아래와 같이 소득금액증명 발급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발급하기를 눌러주세요.

소득금액증명원발급

 3) 발급하기를 눌르시면 회원/비회원 신청 안내가 뜹니다. 가입이 되어 있으시면 회원신청하기 후 로그인을 해주시면 됩니다. 비회원 신청하기로 알아보겠습니다. 

소득금액증명원발급

4) 비회원 신청하기를 누르시면 개인정보 수집 동의와 정보를 입력하셔야 합니다. 모두 동의하신 후 하단에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소득금액증명원발급

5) 비회원 로그인까지 완료가 되셨다면 소득금액증명신청 으로 넘어가게됩니다. 빨간색 별표가 표시되어 있는 항목은 필수로 입력하셔야 하는 항목이므로 빠짐없이 입력해주신 후 민원신청하기를 눌러주세요.

- 용도 검색을 누르시면 관공서제출용, 대출용 등등 여러 항목이 있습니다. 사용하시려는 용도에 맞게 선택해주세요.

소득금액증명원발급

- 발급내용에서 공개여부는 웬만하면 공개로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 증명받고자하는 기간은 발급 기준 년도 5월 1일 이후부터 전년도 소득금액증명을 받을 수 있습니다. 

6) 마지막으로 인증이 필요한 구간입니다. 간편인증은 네이버, 카카오 등으로도 인증이 가능하므로 공동,금융인증서가 없으시다면 부담없이 간편인증을 이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소득금액증명원발급

7) 인증까지 완료가 되셨다면 발급은 다 되었습니다. 완료가 되면서 서비스 신청내역으로 이동하게 되며 아래와 같이 내가 신청한 민원들의 목록이 뜨게 됩니다. 열람하기, 발급받기 모두 가능하시니 이용하시고자 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시어 편리하게 이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소득금액증명원발급

오늘은 소득금액증명원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필요한 상황이 많은 증빙자료로서 간편하게 발급 받는 방법을 알아두는게 좋을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소득금액증명원발급

2023.09.18 -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발급 방법 (홈택스, 전직장까지)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발급 방법 (홈택스, 전직장까지)

원천징수영수증은 대출, 연말정산 등등 생활에서 정말 많이 필요한 서류입니다. 처음 원천징수영수증을 가지고 와라 라는 얘기를 들으면 어디서 해야하는건지 막막하실텐데요. 오늘은 근로소

ggooltip.tistory.com

2023.08.16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발급 방법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발급 방법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는 나의 월별 납부 금액을 확인하는 서류 입니다. 대출이나 종합소득세 신고 및 이직하실 때 경력 증명 등 많은 용도로 활용이 되고 있습니다. 살면서 꼭 몇번은 발급 받

ggooltip.tistory.com

2023.07.24 - 건강보험료 환급금 조회 및 신청 방법

 

건강보험료 환급금 조회 및 신청 방법

건강보험료를 내시는 분들이 많으시죠? 대부분 직장인분들이 4월에 통장에 찍히는 월급이 많이 줄어드는 이유가 건강보험료 때문입니다. 생각보다 많이 나가는 비용 때문에 환급을 받을 순 없

ggooltip.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