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2 인터넷 전입신고 하는 방법 및 필요서류 확인(3일 이내 완료!) 이사를 가시면 꼭 주소 이전을 하셔야하는데요. 주소 이전 하는 것을 전입신고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전입신고는 무엇이고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전입신고란 무엇인가요? 👉 전입신고란 하나의 세대에 속하는 자의 전원 또는 그 일부가 새로운 거주지로 이동한 경우에 그 전입한 거주지의 시·군·구에 전입사실을 알려서 주민등록을 내용을 정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 신고의무자(세대주)는 새로운 거주지에 전입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전입신고를 해야만 합니다. ※ 14일 이내에 전입신고를 하지 않으면 5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2.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 ① 정부24 사이트에서 전입신고를 하실 수 있는데요. 우선 정부 24를 들어가주신 후 검색창에 전입신고를 검색.. 2023. 9. 11. 병적증명서 병역증명서 발급 방법 온라인 발급!! 오늘은 병적증명서 병역증명서 발급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병역증명서는 군 전역 후 사회생활을 하시다보면 필요하실 때가 있습니다. 전역증을 내야하는거 아닌가 싶으실테지만 온라인으로 쉽게 발급 받으실 수 있습니다. 📢 병적증명서(병역증명서) 발급 방법 1. 정부24 사이트에 들어가주신 후 메인페이지 중앙 검색창에 병적증명서 발급을 검색해주세요. 검색을 하시게 되면 서비스 바로가기에 병적증명서발급이 뜨는데 클릭해주세요. 2. 병적증명서 발급 서비스로 이동이 되었을텐데요. 발급하기를 눌러 진행해주세요. 발급하기를 눌르시면 회원/비회원 신청하기 안내창이 뜨게 됩니다. 비회원 신청하기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 비회원 신청시 개인정보 수집 및 고유식별정보 수집 이용동의를 모두 동의합니다로 체크해주신 후 신청 정.. 2023. 9. 6. 알바 주휴수당 조건 및 계산방법 주휴수당 계산은 알바를 하실 때 많이 궁금하신 사항입니다. 얼만큼 일해야 받을 수 있는 것인지, 얼마나 받을 수 있는건지 궁금하실텐데요. 주휴수당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주휴수당이란 무엇인가요? 👉 4주 평균하여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 👉 1주간의 소정근로인(근로계약 당시 1주간 일을 하기로 처음부터 약속(계약)한 날)을 개근하였을 때 발생 ※ 상시, 단기근로자 상관없이 주15시간 이상 근무를 해야하며 지각 또는 조퇴를 했을 경우 해당 시간은 제외한 후 계산하게됩니다. 📢 주휴수당 계산방식(예시) 같이 종류의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가 1일 8시간, 월~금까지 주 40시간을 근무하고, 단시간근로자는 주 20시간(월, 수 각 8시간, 금 4시간, 시급 10,000원)인 경우 ➡️.. 2023. 9. 4. 소득금액증명원 발급 방법(정부24) 나의 소득을 증빙해야 하는 일은 꽤나 많이 발생하는데요. 대출, 청약 등 기준에 부합하는지 확인은 필수입니다. 그럼 소득금액증명원 발급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아봐야겠습니다. 📢 소득금액증명원이 무엇인가요? 소득금액증명원이란 개인 또는 법인의 경제적 이익을 상세히 기록함으로써, 종합소득세 확정신고 또는 연말 정산한 납세자의 소득금액을 확인해볼 수 있는 문서입니다. 근로소득만 있으신 경우 매년 5월 1일 이후 부터 전년도 소득금액증명원 발급을 하실 수 있습니다. 📢 소득금액증명원 발급 방법 (정부24) 소득금액증명원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모두 발급이 가능하며 모두 무료입니다. 온라인의 경우 정부24, 홈택스에서 발급이 가능하며 오프라인은 무인발급기, 동사무소, 세무서 등 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온.. 2023. 8. 31. 이전 1 ··· 5 6 7 8 9 10 11 ··· 21 다음